김지율
몇 개의 문턱과 좁은 계단을 통과해 도착한 이곳에 어떤 소리가 들린다. 익숙한 언어이지만 억양과 리듬이 생소하게 느껴지는 목소리. 명료하지 않지만, 이렇게 들을 때에야 확실해지는 것이 있다. 낯선 언어로 말하는 사람의 문장은 단순해지고 수식은 최소화되며, 꼭 전해야 하는 말만 남기 때문이다. 그러니 이 목소리가 주변의 바람과 새 소리처럼 자리를 찾지 못한 채 공중을 떠다니듯 흩어져도, 우리는 이것을 주의 깊게 들어볼 필요가 있다.*
«바람의 속삭임»은 이동하는 여자들에 대한 전시다. 여자들은 온갖 역사와 언젠가 가득했던 절망과 희망, 그 뒤에 남은 지루함을 껴안고 대담하게 움직인다. 이때 이동은 정해진 출발점과 도착점이 있어 그 사이를 잇는 선분과 같은 형태가 아닌, 멈추지 않고 계속해 이어지는 형세로서의 이동, 달리 말해 삶의 모양새와 같은 움직임이다.
아주 먼 역사에서부터 지금까지 이동은 권력과 자본의 궤적을 따라 이루어져 왔다. 영토 확장을 위한 항해와 비행, 강제 동원, 추방된 이들의 행렬, 수탈한 자원의 운반에서부터 이제는 자발적인 이주 노동, 물류와 항공의 체계, 소비와 체험 중심의 관광까지. 이 커다란 말들이 멀리 있는 추상이 아님을, 또한 이 말들 속에서 삶을 만들어 가는 여자들이 있음을, 그리고 이 여자들이 우리 가까이에 있음을, 당신은 알 수 있을까?
전시는 이를 전하기 위해 동굴을 파고든다. 제주와 인도네시아, 홍콩과 필리핀 곳곳에 위치한 동굴이다. 식민지를 건설하기 위해 지어진, 일본군이 만들었다 하지만 그 이전에는 네덜란드군이, 영국군이 사람들을 부려 산과 해안 절벽에 구멍을 뚫었다던, 그리하여 섬으로부터 빼앗은 것들과 비행 연료를 저장하는 무기고로 사용했거나 사람들을 가두었다던.* 죽음을 부르는 뱀이 우글거린다는 소문이 파다한 수많은 구멍. 떠도는 소문에는 이 동굴들이 개미굴처럼 서로 이어져 있다고 한다. 이 나라로 들어가 나아가다 보면 저 나라로 연결된다는 것인데, 이는 일견 믿음직스러워 보인다. 애초에 이 동굴들은 각 나라의 사람과 물자, 자본과 권력을 잇기 위해 뚫린 구멍이었으므로.
그리고 이곳을 이용하는 여자들이 있다. 관광 상품이 된 역사 앞에서 물과 주스, 떼 보똘*을 판매하는 노점상을 열고, 가이드로 일하며 돈을 버는 여자들이다. 이들은 작은 바람 같은 기회가 불면 짐을 꾸려 떠난다. 그러니 동굴과 동굴이 이어져 있다는 소문을 들은 여자들은 미련 없이 그곳으로 들어간다. 여자들은 구멍을 통과하는 동안 뱀과 지혜를 나누고, 다른 여자들과 노래를 부르고, 유급 휴가를 받는 좋은 일자리를 구해보려 할 것이다. 가지지 못한 권리를 취하기 위해 이곳과 저곳을 넘나들면서, 역사가 만든 구멍을 자기 방식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 대담함은 누군가의 입에선 이주 노동자라거나, 불법과 합법이라는 제도의 단어로 가려지지만, 여자들에게는 모든 것이 뜻대로 되지 않아도 상관없다. 더 나은 환경을 기대하며 약간의 바람에도 날아갈 수 있기 때문에, 그렇게 날아간 곳에서 바람과 새 소리처럼 들리는 낯선 언어를 배우며 또 시작하면 되기에.* 그렇게 여자들은 자신이 속한 시공간을, 식민이라는 역사와 이주 노동이라는 산업, 모든 현실을 구체적인 삶의 통로로 만든다.
다시, 낯선 억양과 리듬의 익숙한 언어가 들린다. 그 목소리는 매끄러운 역사와 현실에 완전히 속하지 않은 채, 그러나 거기서 완전히 벗어나지도 않은 소리로, 동굴 같은 전시장을 떠다닌다. 그것을 따라 우리는 어디로 향할 것이며, 그곳에서 어떤 소리를 내게 될까.
* 이 문단은 “낯선 혀로 말하는 사람은 조류학자이자 한 마리의 새”라고 말하는 다와다 요코의 시학 강연이 담긴 책 『변신』의 1강 「새의 목소리 또는 낯섦의 문제」에 기대고 있다.
* 작가의 에세이에서 발췌.
* 인도네시아 국민이 즐겨 마시는 달콤한 재스민차.
* 태평양 전쟁 시기 동원된 일본의 자살특공대 가미카제가 일본어로 신풍(神風), 즉 신이 일으킨 바람이라는 뜻을 가졌다는 사실은 기묘하다.
Jiyul Fog
Terdengar sebuah suara dari tempat yang hanya bisa dicapai lewat tangga sempit dan beberapa ambang kpintu. Bahasanya terasa akrab, tapi ritme dan intonasinya begitu asing. Meski tak begitu jelas, dalam hidup ada suatu hal yang harus didengar dengan cara seperti ini agar benar-benar bisa dipahami. Kalimat yang diucapkan oleh seseorang dalam bahasa asing itu sangat sederhana, tanpa basa-basi, dan hanya menyampaikan yang perlu dikatakan. Suara ini layaknya suara angin dan burung di sekitar, tak bermakna dan memenuhi udara. Hanya dengan memperhatikan dengan seksama, barulah kita bisa benar-benar mendengarnya. *
<Desir Angin> adalah pameran tentang perempuan-perempuan yang berpindah. Mereka berpindah dengan berani sambil memeluk sejarah, keputusasaan, mimpi yang mungkin suatu hari akan terwujud, serta kebosanan. Perpindahan itu bukanlah perjalanan dengan titik awal dan akhir yang pasti, melainkan perpindahan karena desakan ekonomi keluarga yang mengharuskan mereka terus bergerak tanpa henti. Dengan kata lain, perpindahan itu mencerminkan situasi kehidupan mereka sendiri.
Perpindahan yang berlangsung sejak sejarah di masa lalu hingga detik ini merupakan jejak dari kekuasaan dan kapitalisme. Pelayaran dan penerbangan demi ekspansi wilayah, kerja paksa, pengusiran, serta pengangkutan sumber daya yang dirampas, kini semua itu menjelma menjadi migrasi tenaga kerja sukarela, jaringan distribusi dan penerbangan, serta destinasi wisata yang berfokus pada konsumerisme dan pengalaman. Tahukah Anda bahwa ini bukanlah sekadar omong kosong? Bahwa ada kehidupan perempuan-perempuan di dalamnya? Dan, bahwa mereka berada dekat dengan kita?
Untuk menyampaikan hal tersebut, pameran ini telah menelusuri beberapa gua. Gua-gua ini tersebar di beberapa tempat di Jeju, Indonesia, Hongkong, hingga Filipina. Tempat-tempat ini dibangun untuk memperluas penjajahan, dan disebut-sebut dibuat oleh tentara Jepang. Namun jauh sebelum itu, tentara Belanda dan Inggris telah memaksa penduduk setempat untuk melubangi gunung dan tebing pantai, kemudian menjadikannya gudang penyimpanan barang rampasan dari pulau, tempat bahan bakar pesawat, bahkan ruang penahanan manusia. * Terdengar pula kabar bahwa lubang-lubang itu dipenuhi ular raksasa berbisa yang mematikan. Ada pula cerita bahwa gua-gua ini saling terhubung layaknya sarang semut. Jika memasuki gua dari sebuah negara, maka akan terhubung dengan negara lain. Sekilas, cerita ini terdengar bisa dipercaya sebab sejak awal gua-gua ini memang digali untuk menghubungkan kapitalisme dan kekuasaan.
Di sini, ada perempuan-perempuan yang hadir. Mereka adalah para perempuan yang mencari nafkah dengan menjadi pemandu wisata atau pedagang kaki lima yang menjual teh botol*, jus, dan air mineral di depan sejarah yang kini berubah menjadi objek wisata. Tiap kali kesempatan kecil datang seperti hembusan angin, mereka segera berkemas dan pergi. Maka ketika mendengar kabar angin bahwa gua-gua itu saling terhubung, mereka akan segera masuk tanpa penyesalan. Selama melewati lubang-lubang itu, para perempuan berbagi kebaikan dengan ular raksasa, menyanyi bersama, dan berusaha untuk mendapatkan pekerjaan bagus yang mempunyai sistem liburan berbayar. Demi mendapatkan hak yang tak bisa didapat itu, mereka terus berpindah dari satu tempat ke tempat lain. Mereka memakai lubang bersejarah itu dengan cara mereka sendiri. Ada yang menyebut keberanian itu sebagai ‘pekerja migran’, yang meski tertutupi oleh istilah ‘ilegal’ dan ‘legal’ sebagai bagian dari sistem, bagi mereka tak masalah meski tak berjalan sesuai keinginan. Dengan harapan akan lingkungan yang lebih baik, mereka bisa terbang bahkan oleh hembusan angin sekecil apapun. Mereka belajar bahasa asing yang terdengar seperti suara angin dan burung di tempat mereka terdampar, dan dari sanalah mereka bisa memulai kembali. * Begitulah para perempuan itu menjadikan ruang dan waktu tempat mereka berpijak, sejarah bernama kolonialisme dan industri bernama pekerja migran, serta seluruh fakta di sekitar mereka sebagai jalan nyata bagi kelangsungan hidup mereka.
Bahasa yang terasa akrab, tapi ritme dan intonasinya begitu asing itu kembali terdengar. Suara itu seolah tak pernah benar-benar berada di dalam sejarah maupun kenyataan, tapi juga tak pernah sepenuhnya keluar dari sana. Ia berkeliling di dalam ruang pameran yang menyerupai gua ini. Jika kita mengikuti suara itu, ke manakah kita akan tertuju? Suara seperti apakah yang akan kita ciptakan di sana?
* Paragraf ini merujuk pada seminar puisi Yoko Tawada yang termuat dalam bukunya Transformasi bagian pertama, berjudul Suara Burung dan Keterasingan. Kalimat yang dikutip berbunyi: “Orang yang berbicara dengan lidah yang asing adalah seorang ahli ilmu burung sekaligus seekor burung.”
* Dikutip dari esai karya penulis.
* Teh melati manis yang digemari masyarakat Indonesia.
* Fakta bahwa kamikaze, pasukan bunuh diri Jepang yang dikerahkan pada masa Perang Pasifik yang secara harfiah berarti angin ilahi dalam bahasa Jepang, terasa ganjil.
이희경은 한국 사회에 정주 중인 아시아 이주민들의 삶과 배경을 리서치하며 영상과 드로잉 등을 매체로 작품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개인의 미시사에 잠재된 문화, 역사적 배경과 도착지의 여러 사회적 레이어로 형성되는 이주 여성의 다층적인 정체성의 구현 방식에 주목하고 있다. 글로벌 자본 체인망을 타고 이동하는 그들이 자신을 재구성하기 위해 실천하는 일상의 현실과 여전히 유효한 아시아의 식민근대의 그림자 사이를 오가며 공동체의 미래에 질문한다. 개인전 《둥글지 않은》(더레퍼런스, 2023), 《너의 이름을 부를 때》(보안여관, 2022), 《깊고 고른 양질의 숨》(테미창작센터, 2020), 《Next Door》(쇼앤텔, 2020)을 가졌다.
Desir Angin 바람의 속삭임
2025. 11. 29. – 2026. 1. 10.
아트센터 예술의 시간 4층
이희경 Lee Heekyung
주최·주관 | 이희경
후원 | 서울문화재단, 아트센터예술의시간
협력 기획 | 김지율
그래픽디자인 | 권수진
영상 설치 | 올미디어
목공 | 공작실
사진 | 송호철
2025년 예술창작활동지원사업 선정 프로젝트
개인정보 처리방침
아트센터 예술의 시간(이하 “아트센터”)은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중요시하며,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에 관한 법률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개인정보취급방침을 통하여 정보주체가 제공하는 개인정보가 어떠한 용도와 방식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어떠한 조치가 취해지고 있는지 알려드립니다.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및 수집방법
1)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 아트센터는 온라인 소식 발송, 전시 및 프로그램 신청 및 확인, 문의응대, 기타 서비스 신청을 위해 아래와 같은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 성명,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 서비스 이용 과정이나 사업 처리 과정에서 서비스이용기록, 접속로그, 쿠키, 접속 IP, 결제 기록, 불량이용 기록이 생성되어 수집될 수 있습니다.
2) 수집방법
홈페이지 내 온라인 상담, Q&A게시판
■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아트센터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 성명: 정확한 상담 진행을 위한 기본적인 사용자 정보
– 전화번호, 이메일: 문의 사항에 대한 답변 전달을 위한 연락처 정보
– 주소: 물품 배송 시 참고할 만한 배송지의 확보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는 해당 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단, 관련 법령에 의한 정보 보유 사유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법률 등 관계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가 있는 경우 회사는 아래와 같이 관계법령에서 정한 일정한 기간 동안 회원정보를 보관합니다.
1) 계약 또는 청약철회 등에 관한 기록
– 보존이유 : 전자상거래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법률
– 보존기간 : 5년
2) 대금 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보존이유: 전자상거래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법률
– 보존기간 : 5년
3) 정보주체 불만 또는 분쟁처리에 관한 기록
– 보존이유 : 전자상거래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법률
– 보존기간 : 3년
4) 로그 기록
– 보존이유 : 통신비밀보호법
– 보존기간 : 3개월
■ 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방법
아트센터는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는 해당 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파기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파기절차: 정보주체가 상담을 위해 입력하신 정보는 목적이 달성된 후 별도의 DB로 옮겨져(종이의 경우 별도의 서류함) 내부 방침 및 기타 관련 법령에 의한 정보보호 사유에 따라(보유 및 이용기간 참조) 일정 기간 저장된 후 파기되어집니다. 별도 DB로 옮겨진 개인정보는 법률에 의한 경우가 아니고서는 보유되어지는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습니다.
2) 파기방법: 전자적 파일형태로 저장된 개인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삭제합니다.
■ 개인정보 제공
아트센터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원칙적으로 외부에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아래의 경우에는 예외로 합니다.
1) 이용자들이 사전에 동의한 경우
2) 법령의 규정에 의거하거나, 수사 목적으로 법령에 정해진 절차와 방법에 따라 수사기관의 요구가 있는 경우
■ 정보주체 및 법정대리인의 권리와 그 행사방법
1)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최신의 상태로 정확하게 입력하여 불의의 사고를 예방해 주시기 바랍니다. 정보주체가 입력한 부정확한 정보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의 책임은 이용자 자신에게 있습니다.
2) 정보주체는 개인정보를 보호받을 권리와 함께 스스로를 보호하고 타인의 정보를 침해하지 않을 의무도 가지고 있습니다. 비밀번호를 포함한 개인정보가 유출되지 않도록 조심하시고 게시물을 포함한 타인의 개인정보를 훼손하지 않도록 유의해 주십시오. 만약 이 같은 책임을 다하지 못하고 타인의 정보 및 존엄성을 훼손할 시에는 「정보통신망이용촉진및정보보호등에관한법률」 등에 의해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3) 정보주체는 언제든지 등록되어 있는 자신의 개인정보를 조회하거나 수정할 수 있습니다. 혹은 개인정보관리책임자에게 서면, 전화 또는 이메일로 연락하시면 지체 없이 조치하겠습니다.
4) 만14세미만 아동의 경우, 법정대리인이 아동의 개인정보를 조회하거나 수정할 권리, 수집 및 이용 동의를 철회할 권리를 가집니다.
5) 귀하가 개인정보의 오류에 대한 정정을 요청하신 경우에는 정정을 완료하기 전까지 당해 개인정보를 이용 또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또한 잘못된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이미 제공한 경우에는 정정 처리결과를 제3자에게 지체 없이 통지하여 정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겠습니다.
6) 아트센터는 이용자의 요청에 의해 해지 또는 삭제된 개인정보는 “회사가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에 명시된 바에 따라 처리하고 그 외의 용도로 열람 또는 이용할 수 없도록 처리하고 있습니다.
7) 만 14세 미만 아동의 경우 법정 대리인이 아동의 개인정보를 조회하거나 수정할 권리, 수집 및 이용 동의를 철회할 권리를 가집니다.
■ 개인정보 자동수집 장치의 설치, 운영 및 그 거부에 관한 사항
아트센터는 귀하의 정보를 수시로 저장하고 찾아내는 “쿠키(cookie)” 등을 운용합니다. 쿠키란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가 귀하의 브라우저에 보내는 아주 작은 텍스트 파일로서 귀하의 컴퓨터 하드디스크에 저장됩니다. 아트센터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위해 쿠키를 사용합니다.
1) 접속 빈도나 방문 시간 등을 분석, 이용자의 취향과 관심분야를 파악 및 자취 추적, 각종 이벤트 참여 정도 및 방문 회수 파악 등을 통한 타겟 마케팅 및 개인 맞춤 서비스 제공
2) 귀하는 쿠키 설치에 대한 선택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귀하는 웹브라우저에서 옵션을 설정함으로써 모든 쿠키를 허용하거나, 쿠키가 저장될 때마다 확인을 거치거나, 아니면 모든 쿠키의 저장을 거부할 수도 있습니다.
3) 쿠키 설정을 거부하는 방법으로는 회원님이 사용하시는 웹 브라우저의 옵션을 선택함으로써 모든 쿠키를 허용하거나 쿠키를 저장할 때마다 확인을 거치거나, 모든 쿠키의 저장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
4) 설정방법 예(인터넷 익스플로어의 경우) : 웹 브라우저 상단의 도구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