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ject Description

2021. 4. 22. – 6. 26.

강석형 김원진 김인혜 이하은 최영민

아티스트 프롤로그 2021 : 예술가의 서막

《아티스트 프롤로그 2021》은 개관 해인 2020년 공모를 통해 선정한 35세 미만 청년작가 5인의 전시로 시작한다. 이제 막 문을 연 신생 공간에 호기롭게 문을 두드린 이들은 재기발랄하고 열정적인 동시에 자신만의 길을 꾸준히 탐구하는 예술가들이다. 아티스트 프롤로그는 예술가로서의 길을 걷기 시작한 청년 작가들의 창작활동에 의미 있는 한 점을 찍을 수 있는 전환적 시기를 맞이하고, 내면과 외연을 함께 확장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을 마련하고자 한다. 나아가 청년 작가들이 제시하는 미술적 지평이 대중과 미술계에 즐겁고 신선한 담론을 형성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아티스트 프롤로그 2021》은 5인의 작가들을 지칭할 적절한 단어를 선택하고자 ‘떠오르는, 젊은, 신진, 청년’ 등의 단어들을 찾았으며, 이들이 갖는 다의적 ‘새로움(new)’의 의미를 ‘미래’와 ‘프롤로그’라는 두 단어 안에 포괄적으로 내포하고자 하였다. 또한, 매해 선정된 청년 작가들의 작업 세계를 알리는 중요한 시작점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고자 《아티스트 프롤로그 2021》을 전시 타이틀로 선정하였다.

작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현재에는 그의 과거와 미래가 담겨 있다. 예술가로서 자신의 현재를 솔직하고 담담하게 보여주는 일은 용기가 필요한 일이다. 2020년 공모를 통해 선정된 5인의 청년 작가들은 회화, 설치, 영상 등의 작업을 교차 또는 병치시키는 방식으로 구현하는 작업을 주요하게 선보인다. 기존 작업의 연장선상에서 확장된 한 가지 이상의 장르를 넘나드는 시도는 직관적이고 감각적인 방식으로, 또는 자기 성찰적이거나 대상화하는 방식으로 드러난다. 이들은 내재된 자아의 직관적 형상화(강석형), 기록과 기억의 시각적 재구성(김원진), 사회적 관계에서 발생하는 긴장과 불안(김인혜), 현실-초현실을 오가는 감각적 세계의 구축(이하은), 사적 경험이 공유되는 장소로서의 풍경(최영민)이라는 주제와 태도를 통해 자신만의 세계를 들여다보고 있다. 이들의 세계관은 이제 막 형성되어 가는 중임에도 불구하고 충분히 영글었으며, 관람자를 작품 너머의 세계로 이끌 수 있을 만큼의 힘을 발휘할 것이다.

오늘 우리가 보는 것은 5인 작가들이 앞으로 열어갈 세계의 서막이다.
《아티스트 프롤로그 2021》은 2021년 새 봄, 이들의 세계가 향할 더 넓고 커다란 전개를 기대하며, 예술가의 서막을 연다.

강석형(b.1989)은 ‘그리기’ 자체에 중점을 둔다. 미학적 개념이나 설명이 필요한 것이 아닌 그리기 본능에 충실한 작업이다. 물감과 스프레이를 사용한 선과 면은 속도감과 리듬감으로 캔버스를 채운다. 즉흥성이 강조된 화면에는 추상적 이미지와 특정할 수 없는 형상들이 나타난다. 완성된 작품은 그리는 행위에 대한 가시적인 결과로, 각 요소에서 특별한 의미를 찾는 것보다 이미지 그 자체로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하다. 직관적인 감상은 보는 이의 감성을 자극하고 내재한 본능의 문을 열게 하는 힘이 있다. 그의 작업은, 그리고 그가 원하는 것은 그리는 행위의 결과인 색, 선, 면에 대한 직관적인 감상이다.

김원진(b.1988)은 불완전한 기억과 순간을 문학적 구조 안에서 해석하고 기록한다. 최근에는 자동차 부품인 타이밍 벨트에 중의적 의미를 지닌 단어와 공백을 담아 흐르는 듯 순환하는 설치 작업을 진행하고, 고전 문학과 자신의 글에서 발췌한 구절을 파라핀으로 제작해 글(의미)이 서서히 녹아 사라지는 작업을 선보인다. 작품의 글이 나타남과 사라짐을 반복하거나 서서히 사라지는 모습은 파편적인 기억 속 공백을 메워가는 과정에 대한 은유이다. 이 과정을 보는 것만으로 우리는 거대한 서사의 한가운데 놓이기도 하고, 숨겨두었던 내밀한 기록 중 일부를 마주하게 되기도 한다. 두 작품 시리즈는 경험적 서사의 기록, 순간의 연대기라는 맥락에서 그 궤를 같이한다.

김인혜(b.1987)는 타자와의 사회적 관계에서 오는 다양한 감각에 관심을 둔다. 관계는 주변 인물이나 SNS상의 불특정한 인물을 관찰하는 것으로 시작되며, 이 과정에서 실재적/허구적 관계가 형성된다. 자신과 작품 속 무표정한 얼굴들 사이에서 경험한 미묘한 감각은 관계적 거리감과 유대감을 측정하는 기준이 되며, 대상에 대한 주관적 이미지 구축을 확고하게 한다. 이렇게 구축된 이미지를 이전보다 가벼워진 재료와 작아진 화면에 표정 없이 정면을 응시하는 모습으로 담아낸다. 재현의 대상은 누구인지 특정할 수 없도록 직관적이고 허술하게 그리는데, 이 허술함은 가벼운 물질과 맞닿아 비로소 하나의 완결된 작품이 된다. 이렇게 모인 100장의 작품은 그 어느 페인팅보다 견고하다.

이하은(b.1994) 작품은 채도 높은 페인팅으로 강렬한 인상을 준다. 강렬한 색과 깊은 원근감을 내포한 초현실적 풍경에는 불쑥 평면적인 도상이 등장한다. 그의 무의식에서 기인한 기둥, 벽, 계단의 이미지는 혼란과 두려움을 의미하며 내러티브 속 기표와 기의로 작용한다. 길게 펼쳐진 캔버스에는 무의식적 세계와 현실 세계가 교차하는 환영적인 내러티브가 담겨 있고, 현실 공간에는 화면 속 개체가 오브제가 되어 등장한다. 실재와 환영이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평면과 입체를 오가며 다양한 매체 실험을 시도하는 그의 작업적 태도는 공간에 대한 탐구로 귀결된다.
전시 기간 중 2회에 걸쳐 회화 작품에서 파생된 오브제들을 설치해 변주하는 공간을 선보인다.

최영민(b.1990)은 지친 일상과 관계에서 오는 피로함을 위로해 주는 장소로 바다를 상정하고, 자신이 위로받았던 바다 풍경을 캔버스에 담아낸다. 바다는 개인의 기억과 감정을 불러일으켜 우리로 하여금 잠시 깊은 숨을 쉬게 하고 삶의 흐름 가운데로 평온히 합류하도록 이끈다. 날씨와 시간의 변화를 기록하듯 펼쳐낸 회화 작품과 롱 테이크(long take)로 촬영한 영상 작품은 끊임없이 밀려드는 파도와 그 위에서 서핑을 즐기는 사람들, 그리고 해 질 녘 노을로 물든 바다를 담고 있다. 평범하지만 지금은 온전히 누리기 힘든 이 풍경은 그의 작품이 주는 특유의 서정성으로 위로와 위안을 준다.

Exhibition of the Future ARTIST PROLOGUE 2021

Exhibition of the Future: Artist Prologue 2021, held at Art Centre Art Moment, features five Korean artists under the age of thirty-five who were selected through a public competition in 2020, which coincided with the opening year of Art Centre Art Moment. The participating artists are whimsical, passionate, and committed to exploring their artistic identities. Artist Prologue 2021 captures formative moments in the creative activities of young artists at the early stages of their careers, and the exhibition provides a place in which these artists have the opportunity to forge connections and expand their artistic sensibilities. Furthermore, Art Centre Art Moment aims to highlight perspectives presented by young artists that will contribute to a compelling and invigorating discourse with both the art world and the general public.
Exhibition of the Future: Artist Prologue 2021 centers on keywords such as ‘rising,’ ‘young,’ ‘new,’ and youth,’ which were selected to represent qualities of the five participating artists. These multi-faceted definitions of ‘new’ were intended to be comprehensively represented by the exhibition title’s two words ‘future’ and ‘prologue’. Additionally, Artist Prologue was so named to express the exhibition’s role as an important starting point each year and to introduce the young participant artists to the art world.
In the Exhibition, the artists use their work to express their positionality in the present and explore their personal histories and hopes for the future. The artists demonstrate courage by thoughtfully expressing the truth of their lived experiences. Utilizing multiple media ranging from painting to installation to video, the five young artists who were selected through the competition in 2020 rely heavily on different methods of montage and juxtaposition. The artists explore the intersectionality of different genres and build upon existing forms to create work that is intuitive and sensuous, yet firmly ground and self-reflective. Reflecting the worlds of their creators, the art in Artist Prologue 2021 deals with multiple themes, which include intuitive image making as it relates to the inherent self (Sukhyung Kang), visual reconstruction of records and memories (Wonjin Kim), tension and anxiety arising from social relations (Ene Kim), construction of a sensuous world that oscillates between reality and the surreal (Haeun Lee), and landscape as a shared place (Youngmin Choi). While the featured artists may be young, their recently ignited flames of artistic subjectively burn brightly and will illuminate the world of the viewer.
Artist Prologue 2021, opening in the spring, serves as a prelude to the careers of five up-and-coming artists, and anticipates their bright futures and the influence they will bring to the development of art.

Sukhyung Kang (b.1989) focuses on ‘painting’ itself. His work is faithful to his instincts, and it does not rely on a conceptual understanding of aesthetics or other explanation. Using oil paints and spray paint, the artist fills the canvas with abstract forms whose lines emphasize spontaneity through the speed and rhythm of his brushstrokes. The act of painting remains visible in the final works. Rather than relying on meaning imbued in the individual elements of the work, the paintings rely on the holistic experience of the viewer and the inherent power of image to stimulate intuitive sensibilities and associations. The artist emphasizes the qualities inherent to the medium such as color, line, and form.

Wonjin Kim (b.1988) records and interprets imperfect memories and moments within literary structures. In her recent series, Blank on Timing, the artist introduced an installation of works featuring Korean characters transposed onto automotive timing belts, which circulate in a flowing motion creating words and spaces with ambiguous meanings. In the series of Melting Strata, she creates works were phrases collected from classic literature and her own writings formed in paraffin wax are placed on a hot plate, where the quoted text (or the meaning of the text) gradually melts. The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the text of the work serves as a metaphor for the human process of filling in the void in fragmented memories. Witnessing this process situates viewers in the middle of a major narrative, and sometimes the viewers come across hidden records. The two series of works share qualities regarding their context as a record of an empirical narrative and a chronology of the moment.

Ene Kim (b.1987) is interested in the various sensations caused by social relations. Through observation of people in her proximity or unspecified people on social networking services, the artist forms real and fictional relationships. Known primarily as a painter, the artist turns to printmaking in this exhibition. This change in media better suits the succinct way in which she depicts her subjects, which she constructs as expressionless faces staring straight ahead. The faces are intuitively and concisely rendered, and the succinctness of the images compliments the lightness of the paper on which they are printed. The subtle sensation experienced between oneself and the images of the expressionless faces in her work serves as a standard against which a sense of relational distance and bond may be measured. Considered as a whole, the visual impact of the one hundred prints rivals any painting.

The work of Haeun Lee (b.1994) creates a strong impression through highly saturated painting. In the surreal landscape with intense colors and deep perspective, a flat icon abruptly appears. The images of columns, walls, and stairs originating from her unconsciousness represent confusion and fear, and act as both signifier and signified in the narrative. The elongated canvas contains an illusory narrative where the unconscious world and the real world intersect. In real space, the image in the canvas appears as an object. The artist experiments with various media, moving between two- dimensionality and three-dimensionality, centering on the two axes of reality and illusion, and her perspective focuses on the exploration of space. At two points during the exhibition period, objects derived from the paintings will be installed in the exhibition, presenting an altered space.

Youngmin Choi (b.1990) assumes the sea as a place to comfort the weariness brought on by daily life and relationships, and he represents seascapes on the canvas as a means of self-comfort. The sea evokes personal memories and emotions, allowing the viewers to breathe deeply for a moment and peacefully consider the flow of life. The paintings are created as if depicting records of changes in the weather and time, and the long-take video work depicts the constant flow of the waves, surfers, and a sea colored by the sunset. Natural landscapes may be part of the ordinary, but they are difficult to fully enjoy in these days, and the artist provides comfort and consolation through the unique lyricism of his work.


아티스트 프롤로그 2021
2021. 04. 22.(thu) – 06. 26.(sat)
주최 | 아트센터 예술의 시간
후원 | ㈜영일프레시젼
참여작가 | 강석형 김원진 김인혜 이하은 최영민
디렉터 | 주시영
큐레이터 | 이상미
어시스턴트 큐레이터| 정지은
글| 주시영, 이상미
사진촬영 | 김성재
그래픽디자인 | 어떤디자인스튜디오